본문 바로가기
육아

말이 늦는 우리 아이, 병원 가야 할까? 언어 지연 시기별 체크포인트 총정리

by he-momsdiary 2025. 6. 21.
반응형

목차

    그림책을 통해 언어 자극을 주는 부모와 아기

    언어가 느린 아기, 모두 병원에 가야 할까요?

    아기가 또래보다 말을 늦게 시작하면 부모는 불안해집니다. 하지만 모든 언어 지연이 병원을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중요한 건 정확한 판단 시점과 기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을 바탕으로 아기의 언어 발달 지연 신호와 병원 상담이 필요한 시점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1. 언어 발달 지연이란 무엇인가요?

    1-1. 정상 언어 발달 범위 이해

    • 12개월: 엄마, 아빠 같은 단어를 1~2개 말함
    • 18개월: 단어 수 약 10~20개, 의사 표현 가능
    • 24개월: 2단어 조합 문장 사용(예: “엄마 물”)
    • 30개월: 단어 수 100개 이상, 간단한 문장 가능

    1-2. 지연 기준은?

    발달 지연은 위 정상 범위에서 6개월 이상 뒤쳐졌을 때를 기준으로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단순한 개인차인지, 전문적 평가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구별해야 합니다.

    2. 월령별 병원 방문 체크포인트

    2-1. 생후 12개월

    • 자신의 이름에 반응하지 않는다
    • ‘엄마’, ‘빠빠’ 등의 단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 옹알이도 거의 없다

    2-2. 18개월

    • 단어 수가 5개 미만이다
    • 사물을 가리키며 말하려는 시도 없음
    • 지시어 이해(“가져와”)에 반응하지 않음

    2-3. 24개월

    • 두 단어 조합 문장을 사용하지 못한다
    • 비언어적 표현(몸짓, 손짓 등)이 많다
    • 주변 또래 아이들과 언어 수준 차이가 현저하다

    2-4. 30개월~36개월

    • 말을 거의 하지 않거나, 이해되지 않는 말을 한다
    • 타인과의 소통에 큰 어려움이 있다
    • 발음이 대부분 알아듣기 어렵다

    3. 어떤 병원에 가야 하나요?

    언어 지연이 의심된다면, 다음과 같은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소아청각과: 청력 이상 여부를 확인
    • 소아 발달 클리닉: 전체 발달 상태 평가
    • 언어치료센터: 언어 지연에 특화된 평가 및 치료

    청력 문제는 언어 지연의 대표 원인 중 하나이므로, 청력 검사는 빠르게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병원 진료 전, 가정에서 체크할 점

    • 아기와 얼마나 자주 말을 주고받는가
    • TV, 유튜브 시청 시간은 하루 몇 시간인가
    • 책 읽기나 노래, 놀이 자극이 얼마나 있는가

    언어 자극이 부족한 환경일 경우, 환경 개선만으로도 발달이 급속도로 좋아지는 사례가 많습니다.

    결론: 지나친 불안보다, 정확한 관찰과 조기 대처가 중요합니다

    아기의 언어 발달은 개인차가 존재하지만, 특정 월령에 반드시 나타나야 하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중요한 건 ‘기다림’이 아닌 ‘관찰’과 ‘대응’입니다. 아이가 말이 늦다고 느껴진다면 체크리스트를 따라 점검해 보고, 필요 시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세요. 초기 대응이 아이의 미래 언어 능력을 결정짓습니다.

    © 2025 아기 언어 발달 정보

    728x90
    반응형